혈관종이란?
혈관으로 구성된 일종의 양성(비암성) 종양입니다. 일반적으로 피부에 밝은 빨간색 또는 보라색 표시로 나타나며 크기는 매우 작은 것부터 상당히 큰 것까지 다양합니다. 혈관종은 머리, 목, 몸통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, 유아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혈관종은 생후 몇 달 동안 빠르게 자라다가 결국 스스로 줄어들고 사라집니다.
혈관종의 원인
혈관종의 정확한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, 태아 성장기의 혈관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기며, 특정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.
혈관종의 종류
혈관종은 표재성 혈관종과 심부 혈관종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▷표재성 혈관종 : 피부의 상층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밝은 빨간색 또는 분홍색입니다.
▷심부 혈관종 : 피부 깊숙이 위치하며 파란색 또는 보라색을 띠는 경향이 있습니다. 드문 경우지만 간이나 뇌 같은 기관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.
• 영아 혈관종 : 가장 흔한 유형의 혈관종이며 출생 직후 영아에게 나타납니다. 생후 첫 몇 달 동안 빠르게 자라다가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줄어들고 사라집니다.
• 선천성 혈관종 : 출생 시 존재하는 혈관종으로, 영아 혈관종과 달리 자체적으로 축소되거나 사라지지 않으며,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크고 작은 융기된 돌기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
• 터프티드 혈관종(Tufted Angiomas) : 유아기 또는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드물고, 조약돌 모양이 특징인, 천천히 자라는 혈관종입니다.
• 카포시형 혈관내피종(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) : 희귀한 혈관종으로 만졌을 때 딱딱한 보라색 또는 빨간색 덩어리가 특징입니다. 이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• 해면상 혈관종 : 성인에게 발생하는 짙은 청색 또는 자주색 혈관종으로, 피부 표면 아래 '동굴'을 형성하는 혈관 집합을 특징으로 합니다.
• 혼합형 혈관종 : 하나 이상의 유형적인 특징을 가지며, 분류하기 더 어려울 수 있는 혈관종입니다.
혈관종의 증상
• 피부에 평평하거나 융기된 밝은 빨간색 또는 보라색 점 모양입니다.
• 생후 처음 몇 개월 동안 급속한 성장, 몇 년에 걸쳐 점진적인 축소 및 소멸합니다.
• 혈관종이 얼굴, 눈과 같은 민감한 부위 근처에 있는 경우 환부의 부종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• 혈관종이 자극이나 압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있는 경우 통증이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• 손상되기 쉬운 부위에 위치할 경우 혈관종의 궤양 또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혈관종의 치료법
• 관찰 : 대부분의 혈관종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. 특히 혈관종이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혈관종의 성장을 관찰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.
• 베타 차단제(Beta blocker) : 혈관종의 성장을 늦추고 수축을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발병 초기에 시작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.
• 스테로이드제 : 혈관종이 눈, 코, 입술 등 중요한 신체기관에 근접하여 자랄 경우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여 성장을 늦추기도 합니다. 때로는 스테로이드제를 바로 혈관종에 주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
• 레이저 시술 : 피부에 있는 혈관종의 색을 수축시키고 퇴색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 치료법은 표재성 혈관종에 효과적입니다.
• 수술 : 혈관종이 시야를 방해하거나 호흡을 방해하는 등의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거나 얼굴과 같이 민감한 부위에 위치한 경우 수술을 권유할 수 있습니다.
• 기타 치료법 : 드물게 방사선 요법, 색전술, 냉동 요법 등의 치료법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.
댓글